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, 요구와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심리적 및 신체적 반응을 말합니다.
직무스트레스 관리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심리적, 신체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는 예방과 관리가 이뤄져야 하며, 심할 경우 심리상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
심리상담이란, 스트레스로 인해 마음이 지치고 힘든 사람들이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. 직무스트레스 외 근로자의 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심리상담이 이뤄집니다.
- 주호소문제에 따른 개인 심리상담
- 스트레스관리 및 심리적안정 상담
- 최소 1회~ 최대 10회기
-
- 직무스트레스(KOSS)
-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지수(PWI)
- 자율신경균형검사(HRV) 등
- MBTI MMPI HTP SCT 우울 불안
- 의사소통훈련 및 대인관계 갈등 등 주제별 프로그램 운영
- 고객응대근로자 및 스트레스 고위험군 관리 프로그램
- 직종별 힐링프로그램 운영
-
- 직무스트레스 이해 및 관리
-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
- 직종별 스트레스 관리 교육
- 직무스트레스 관리 정보 제공
※ 모든 심리검사 결과 및 심리상담의 내용은 비밀이 보장됩니다.
다음 문항은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반응을 평가하여 나의 정신건강상태를 평가합니다.
최근 2주 동안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것을 고르세요.
0~8점 : 건강군 - 스트레스가 없는 건강한 상태
9~26점 : 잠재적 스트레스군 - 일시적인 스트레스가 반복적으로 쌓이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약해지는 시기
27점 이상 : 고위험 스트레스군 - 스트레스의 정도가 심해 관리 및 심리상담이 필요